2012년 5월 8일 화요일

SI전문엔지니어 vs. 컨설턴트 vs. 솔루션전문가

국내 IT산업에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Career path라고 하면 크게 컨설턴트와 SI엔지니어 그리고 특정부문의 솔루션 전문가입니다.

그 외 대기업 전산실의 시스템 관리 담당자(고객사)나 IT전문 기획부서 담당자들도 있는데 뚜렸이 당신은 뭐다라고 말하기 힘듭니다.  왜냐하면 그 누구도 ~~~전문가다 라고 정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해당 직군을 총칭할 말도 없기 때문입니다.
굳이 말하자면 그냥 직원인데 IT부서에 있는 사람입니다. 
혹시 보시는 분들중에 해당 소속에 계신분들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정확히 표현할 방법이 없는 저의 표현력 부족입니다.

아무튼 오늘하고자 하는 클리닉은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직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스스로의 발전성과 경로를 한번 생각해보는 쉬어가는 페이지 즈음으로 봐주셨으면 합니다.
 

 
IT컨설턴트!

컨설팅이란 고객의 가치를 발굴하여 정성적, 정량적인 기대 향상을 꾀하는 가치향상의 과정으로써 타인의 부족한 지식을 대신하여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주변상황에 최적화되고 효과적인 솔루션과 전략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좀 길지요? 요약하자면 객관적인 눈으로 상대방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가이드 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조언을 주는 사람이죠.
여기서 가이드라 함은 의사결정권은 컨설팅을 의뢰한 의뢰인의 몫이라는 겁니다.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는 컨설턴트에 필요한 스킬은 다음과 같습니다.

1.커뮤니케이션 스킬
2.문서작성능력
3.문제분석능력
4.업무지식과 직간접 경험
5.논리적사고력
6.리더쉽
 

 
솔루션전문가

솔루션전문가란 특정 업무분야의 특정 상용솔루션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사람을 지칭하게 됩니다. 오라클이나 IBM 그리고 SAP등의 전문가를 말하며 주로 정해진 솔루션의 업무 커버리지 내에서 R&R을 가지고 프로젝트나 SM업무를 수행합니다.

이들의 스킬셋은 다음과 같습니다.

1.솔루션 전문 지식
2.솔루션커스터마이징기술
3.업무분석력
4.커뮤니케이션스킬
5.프리젠테이션 스킬
6.SI-시스템 통합 업무 스킬
 


SI전문가
마지막으로 SI전문가란 다양한 분야의 단위 또는 총체적 시스템을 신규구축, 고도화 그리고 통합구축하는 업무를 말하며 고객의 IT 시스템에 대한 Needs를 구체화 시키고 개발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모든 시스템들의 탄생은 이 SI를 통해 이루어 지게 됩니다.  여기에는 고객 맞춤형 인하우스 및 솔루션 기반의 모든 시스템이 포함되게 되며 이들의 스킬셋은 다음과 같습니다.

1.업무 및 프로세스 분석 스킬
2.application 설계 및 DB모델링 스킬
3.코딩 스킬
4.데이터 전환 스킬
5.인터페이스 구축 스킬
6.문서작성 및 보고 스킬
7.문제분석 및 해결력
8.이슈 및 리스 관리 스킬
9.솔루션 커스터마이징 스킬
10.아키텍처 설계 스킬

이상 크게 세가지 스룹의 스킬을 나열해 뵜습니다.

어찌 보면 IT를 기반으로 한 일들이기에 기본적인 스킬셋은 비슷한 것들이 많습니다. 단, 어느정도로 파고 들고 시간을 많이 투자하느냐에 대한 차이가 존재하죠.

컨설팅은 주로 방향과 고객에 필뇨한 전략, 의사결정 팩터가이드에 주력하고 솔루션은 나의 상품을 어떻게 고객 서비스에 접목시킬 것인가, 그리고 SI는 고객에 필요한 시스템 자체를 어떻게 잘 구축하겠느냐에 집중하죠.
이중 SI의 업무커버리지는 매우 넓습니다. 설계와 개발을 분리운영한다해도 개인이 알아야 할 스킬과 업무는 정말로 많습니다.
또한 아웃풋인 프로그램을 만들어야하고 일단 시스템이 돌아가야 합니다. 
세상에 없던것을 탄생시켜야 하기에 출산의 과정과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전부를 한번에 다 준비한다?  힘들겠죠. 그렇기에 우선순위가 필요합니다. 

일단은 개발기술은 기본으로 갖추어야 겠죠.   그래야 입문이 가능합니다.
다음, 업무와 프로세스 분석 기술이 절실합니다.    대개 수동적으로 일 주면 개발한다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분석가 또는 PL들이 그 일을 다 한다는 묵시적 이해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잘 생각해 보십시요.  일은 분담해서 시키지 절대 개발하는데 필요한 모든것을 다 챙겨주지 않습니다.  즉, 어느정도의 자생력이 필요한 겁니다. 
특히나 여기저기 많은 사이트를 다니게 되면 가장 어려운 것이 업무 분석력 입니다.  
그렇기에 모든 지식을 가지고 있기 보다 업무습득력, 학습능력이 더 중요한 겁니다.

대략 어떤 느낌인지 이해 가시죠? 앞으로 이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지는 계속해서 글을 쓰겠습니다.

컨설팅과 솔루션, SI라는 것은 거의 비슷합니다. 그렇기에 갈아타기도 쉽습니다.
하지만 모든 모체를 생산하는 SI에 대한 스킬, 마인드를 다시한번 생각해보고 우리가 집중하는 개발 자체에 대한 테두리를 조금 벗어나 이게 있게 한 원인을 고민해보는 여유를 가지시길 부탁하고 싶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